Hus Letter 3월호
1. 📰News: 2월 업계 주요 뉴스 요약
2. 👩🔬Introduction: Central Lab 서비스 소개 #6_눈물 검체 분석 서비스 소개
3. 🔔홍보 영상 퀴즈 이벤트 |
|
|
📢 코너 소개: 2월 한 달 간 있었던 중요한 뉴스들을 키워드별로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각 키워드를 누르시면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① 공동연구개발: 셀트리온이 고바이오랩, 바이오미 등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업체 3곳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국내외 학회에서는 암, 뇌신경질환 등과 마이크로바이옴 사이에 연관성을 보여주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제,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② 미국임상 허가: 난치성 혈관질환 신약개발 기업 큐라클은 경구용 당뇨병성 황반부종 치료제 'CU06'을 개발하여 현재 미국에서 임상 2a상을 진행했으며, 오는 3월 말 최종보고서 발표예정입니다. 경구용 약제인 'CU06'을 통해 치료기간 3개월만에 의미 있는 시력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경구용 혈관내피기능장애 치료에서 세계 최초의 약물로써 상당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③ 라이센싱아웃: 알테오젠은 2020년 6월 MSD와 맺었던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ALT-B4) 비독점적 라이센스 계약'에 대한 변경계약을 통해 ALT-B4를 첨가한 키트루다 제품군에 한정해 독점적 라이센스 사용권을 부여했습니다. 계약금만 약 266억원이며, 한국 바이오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기술료 수입을 달성할 것이라는 예측도 가능합니다.
④ 신약 출시: 노보 노디스크사의 비만 치료제 위고비가 아시아 최초로 일본에 출시되었습니다. 의료보험 적용으로 일본에서는 2.4mg 기준 1달 처방은 약 37만원이며, 미국에서는 약 170만원, 덴마크에서는 약 45만원인 것과 비교하였을 때 일본인들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위고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비만율이 낮은 일본에서의 출시가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⑤ 협정체결: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싱가포르 보건과학청(HAS)과 의약품 제조소에 대한 GMP 실태조사 결과를 상호 인정하는 '의약품 GMP 상호인정협정'(MRA)를 체결했습니다. 이로 인하여 앞으로 싱가포르에 의약품을 수출할 때 국내 의약품 GMP 평가를 그대로 인정받을 수 있게되어 허가 기간이 단축되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게 됩니다.
⑥ IRB: 최근 전공의들이 근무지 이탈을 하는 집단행동 사태가 시작되면서 일부 병원은 IRB 운영을 잠시 중단하는 안을 검토 중입니다. 전공의 부재로 상급종합병원 교수진에 업무가 과중되면서 IRB가 제대로 개최되지 못하고 있고, 임상 담당 교수가 진료 현장에 투입되면서 임상 진행이 지연된다고 합니다. 사태가 더 길어지게 되면 신약개발 일정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
|
|
📢 Central Lab에서 주로 사용하는 장비 또는 분석서비스에 대해서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Central Lab 서비스 소개 #6_눈물 검체 분석 서비스 소개 |
|
|
오늘은 휴사이언스의 최근에 진행한 눈물 검체 분석 경험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보통 임상에 있어 검체 종류는 Serum, Plasma를 많이 활용하나, 분석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전에는 분석하기 어려웠던 검체들도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눈물을 검체로 활용하여 어떤 질병들을 볼 수 있는지를 간략히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
|
|
‣ 눈물 검체의 특징
우리 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눈물은 다양한 단백질, 지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과 최근 액체생검이 부각됨에 따라 눈물을 활용한 진단 및 분석도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눈물 검체가 주목을 받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검체 수집이 용이함 📍 최대 400여종의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음 📍 진단법 개발 시 안구 질환 외 전염병, 당뇨, 알츠하이머 진단 등에 활용될 수 있음.
|
|
|
‣ Workflow
눈물 검체 분석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
|
|
1)검체 수집: 눈물 검체 수집 방법은 쉬르머 종이, 모세관, 셀룰로스 막대, 안과용 스펀지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휴사이언스는 검체 수집에서의 불편함 최소화, 친숙성,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쉬르머 종일 통하여 검체 수집을 진행하였습니다.
2)검체 운송: 눈물의 경우 냉동으로 검체 운송 진행합니다.
4)보고서 제공: 분석 결과는 실시간으로 HSMS에 전달됩니다. |
|
|
‣ 분석 가능한 분야
눈물을 바이오마커로 활용하는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눈물 내 단백질은 주로 안질환 진단과 관련된 연구에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는 반면, 눈물 내 miRNA을 활용한 연구는 다양한 질환 진단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받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질환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 외에도 눈물내 Cytokine을 활용한 안구건조증 연구, 눈물 속 포도당 수치를 활용한 당뇨 진단 등 눈물 검체는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안구 질환 관련된 인체적용시험에 눈물 마커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주로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
|
|
눈물 검체는 이처럼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검체로, 아직 초기이지만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고 있으며, 임상 & 인체적용시험에 적용하려는 시도도 점차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눈물 검체를 활용한 임상/인체적용시험/연구용 실험에 진행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아래 견적 문의를 통해 대화를 시작해보세요 ⬇️⬇️⬇️ |
|
|
Reference:
[1]Adigal, S. S., Rizvi, A., Rayaroth, N. V., John, R. V., Barik, A., Bhandari, S., George, S. D., Lukose, J., Kartha, V. B., & Chidangil, S. (2021). Human tear fluid analysis for clinical applications: progress and prospects. Expert review of molecular diagnostics, 21(8), 767–787. https://doi.org/10.1080/14737159.2021.1941879
[2]Altman, J., Jones, G., Ahmed, S., Sharma, S., & Sharma, A. (2023). Tear Film MicroRNAs as Potential Biomarkers: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4(4), 3694. https://doi.org/10.3390/ijms24043694
[3]Nishtala, K., Pahuja, N., Shetty, R., Nuijts, R. M., & Ghosh, A. (2016). Tear biomarkers for keratoconus. Eye and vision (London, England), 3, 19. https://doi.org/10.1186/s40662-016-0051-9 |
|
|
📢 휴사이언스가 진행하고 있는 이벤트나 참여하는 행사에 대해서 안내드려요. 휴사이언스의 Central Lab 서비스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해당 행사들에서 BD 담당자를 만나 상담을 받아보세요. |
|
|
이번에 휴사이언스의 센트럴랩 서비스를 소개하는 영상을 만들면서,
휴스레터 구독자 분들을 위한 깜짝 이벤트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영상을 기반으로 한 5개의 문제를 모두 맞추신 분들에게는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영상을 다 보신 분은 아래 버튼을 통해 퀴즈를 풀러 이동해 주세요~!⬇️⬇️⬇️ |
|
|
휴사이언스BD@huscience.net경기도 광명시 소하로 190 3층 331호(소하동, 광명G타워) 02-898-4998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