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s Letter 4월호
1. 📰 News: 3월 업계 주요 뉴스 요약
2. 👩🔬 Introduction: Central Lab 서비스 소개 #7_치은열구액 분석 서비스 소개
3. 💌 Lab tour Invitation |
|
|
📢 코너 소개: 3월 한 달 간 있었던 중요한 뉴스들을 키워드별로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각 키워드를 누르시면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① 박람회: 지난 14일 개막한 제 39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 KIMES에서는 최신 의료기기, 병원설비, 의료정보시스템, 헬스케어 장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한국로슈진단은 룰루메딕과 공동참가하여 혈당측정 전문 브랜드 '아큐-첵'을 소개하여 참관객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② 연구발표: HK이노엔은 미국암연구학회 AACR 2024에 참석해 비소세포폐암 유전자(H858R) 변이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4세대 표적항암치료제 ‘IN-119873’ 에 대해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밝힐 예정입니다. ‘IN-119873’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의 알로스테릭 결합부위를 공략하며, 기존 약물로 인한 EGFR 돌연변이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여 병용요법에서도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가 모아집니다.
③ 국가 정책: 정부가 2030년까지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민간투자를 뒷받침할 예산으로 2조 1000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개발,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생태계 조성, 산업 기반 구축, 글로벌 진출 등에 대하여 지원 예정이며, 바이오 생산공정 고도화를 위한 한국판 'BioMADE' 사업을 조사를 거쳐 추진하고, 국제 기관과 협력하여 바이오제조 혁신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④ 신약개발: 복잡한 발병기전으로 인해 치료제 개발에 난항을 겪던 위암 영역에서 국내외 제약사들이 클라우딘 18.2 (CLDN18.2)이라는 바이오마커를 통해 새로운 치료해법을 찾아나서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아스텔라스의 면역글로불론(IgG) 단일클론항체 졸베툭시맙이 일본에서 허가를 취득했고, 국내에서는 에이비엘바이오, 동아에스티, 리가켐바이오에서 클라우딘18.2를 타깃하는 이중항체나 ADC를 개발중입니다.
⑤ 미국의료코드 취득: 체외 암 분자진단 기업 지노믹트리가 소변 기반 방광암 검출 검사법 '얼리텍-BCD'에 대한 의료코드 'CPT-PLA'를 취득했습니다. 얼리텍-BCD 검사는 바이오마커인 PENK 메틸화를 민감하게 감지하여 방광암 환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며, 조기진단에도 도움을 줄거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보험금을 청구할 때 PLA 코드를 통해 구체적인 검사 내역을 식별하여 보험 보상청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
|
📢 Central Lab에서 주로 사용하는 장비 또는 분석서비스에 대해서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Central Lab 서비스 소개 #7_치은열구액 분석 서비스 소개 |
|
|
오늘은 휴사이언스에서 진행 중인 치은열구액 검체 분석 경험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보통 임상에 있어 검체 종류는 Serum, Plasma를 많이 활용하나, 분석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전에는 분석하기 어려웠던 검체들도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치은열구액으로 어떤 질병들을 볼 수 있는지를 간략히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
|
|
‣ 치은열구액 검체의 특징
치은열구액은 치주조직에서 유래된 삼출물을 의미하며, 혈청과 조직 분해 생성물, 염증 매개체 및 치석 박테리아에 대한 항체와 같은 국소 생성 물질로 구성됩니다. 이는 접합상피의 구조를 유지하고 치주조직의 항균 방어에 특별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임상시험/인체적용시험/연구용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치은열구액은 이외에도 다양한 특징을 가집니다.
📍비침습적 방식으로 검체 수집이 용이함
📍잇몸 관련 바이오 마커로 활용할 수 있음
📍치주염, 잇몸건강상태를 확인하는 바이오 마커로 활용될 수 있음 |
|
|
‣ 치은열구액 검체 수집, 운송 및 보관 시 주의할 점 |
|
|
일반적으로, 치은열구액은 여과지를 통해 수집합니다. 부피 측정 후(수행되는 경우) 극저온 튜브에 넣고 액체 질소 또는 드라이 아이스를 이용해 급속 동결한 다음 분석에 필요할 때까지 -80°C 냉동고에서 보관합니다. 치은열구액의 분석 경로에는 (샘플링, 부피 측정, 보관, 분석 수행까지) 많은 변수가 있습니다. 때문에 실력있는 센트럴랩 또는 임상검체분석기관을 통하여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
|
|
‣ 치은열구액 검체 분석 장비 분석 가능한 질환 |
|
|
치은열구액은 아래와 같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면역 분석을 진행할 경우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 Interleukin(IL) 계열 바이오 마커들을 분석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샘플양이 적어 높은 민감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MSD 또는 HS ELISA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합니다. 해당 바이오 마커는 치주염, 잇몸건강과 관련된 인체적용시험, 다양한 치주질환의 진단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
|
이처럼 치은열구액 검체는 치주질환 관련 분석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해당 검체를 활용한 임상/인체적용시험/연구용 실험에 진행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아래 견적 문의를 통해 대화를 시작해보세요 ⬇️⬇️⬇️ |
|
|
Reference:
[1]Wassall, R. R., & Preshaw, P. M. (2016). Clinical and technical considerations in the analysis of gingival crevicular fluid. Periodontology 2000, 70(1), 65–79. https://doi.org/10.1111/prd.12109
[2]Subbarao, K. C., Nattuthurai, G. S., Sundararajan, S. K., Sujith, I., Joseph, J., & Syedshah, Y. P. (2019). Gingival Crevicular Fluid: An Overview. Journal of pharmacy & bioallied sciences, 11(Suppl 2), S135–S139. https://doi.org/10.4103/JPBS.JPBS_56_19
[3]Fatima, T., Khurshid, Z., Rehman, A., Imran, E., Srivastava, K. C., & Shrivastava, D. (2021). Gingival Crevicular Fluid (GCF): A Diagnostic Tool for the Detection of Periodontal Health and Diseases.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6(5), 1208. https://doi.org/10.3390/molecules26051208 |
|
|
📢 휴사이언스가 진행하고 있는 이벤트나 참여하는 행사에 대해서 안내드려요. 휴사이언스의 Central Lab 서비스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해당 행사들에서 BD 담당자를 만나 상담을 받아보세요. |
|
|
휴사이언스의 GCLP 시설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이벤트를 준비했습니다~
바로~ 휴스레터 구독자분들 대상으로만 드리는 💌Lab tour 초청권💌입니다!
시설 곳곳을 방문하며 자세히 살펴보고, 분석 관련하여 궁금했던 사항들을
분석팀에게 물어볼 수 있는 좋은 기회!👩🔬
방문하신 분들에게는 4만원 상당의 상품을 드리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
|
|
휴사이언스BD@huscience.net경기도 광명시 소하로 190 3층 331호(소하동, 광명G타워) 02-898-4998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