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s Letter 6월호
1. 📰 News: 5월 업계 주요 뉴스 요약
2. 👩🔬 Introduction: Central Lab 서비스 소개 #9_각질 검체 분석 서비스 소개
3. 💌 Huscience Upcoming Event |
|
|
📢 코너 소개: 5월 한 달 간 있었던 중요한 뉴스들을 키워드별로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각 키워드를 누르시면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① 신약개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치료제 '카스거비'가 첫 승인을 받은지 반년이 지난 지금 임상시험 20대 듀센근이영양증 환자 사망 사례가 보고되면서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치료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매개체인 아데노바이러스가 일으키는 폐손상이 사망원인으로 분석되었고, 이러한 다양한 부작용을 막기위해 특정염기를 변경하는 방식인 'Base Editing' 및 'Prime Editing'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② 희귀약 지정: 한미약품과 GC 녹십자가 공동으로 연구중인 성염색체 질환중 하나인 파브리병 치료제 'LA-GLA'가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ODD)으로 지정되었습니다. LA-GLA는 세계 최초 월 1회 피하투여를 통한 차세대 지속형 효소대체요법으로 2주에 한번씩 효소를 정맥주사하는 기존의 치료법의 한계를 개선하였습니다.
③ 식약처: 식약처에서 '의약품허가·심사조정협의체' 운영안내서를 마련하고 6월부터 시행할 예정입니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의 분석 결과 의약품 품목허가 소요기간이 평균 313.7일이 걸리지만 지침이 시행되면 의약품 품목허가 과정인 '허가신청→자료심사→보완요구→최종처리' 중 보완요구와 최종처리 사이에 '협의체'가 추가되어 허가 기간이 수개월 단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④ 포럼: 중국 최대 CRO인 타이거메드와 자회사인 드림씨아이에스가 지난 21일 항저우에서 한-중 바이오 혁신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26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참여해 66개 중국 기업들을 상대로 각자의 파이프라인과 임상결과를 소개하였으며, 참가한 국내 업체에서는 좀처럼 읽기 힘든 중국 바이오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유익한 교류의 장이였다고 평가했습니다.
⑤ 신약 허가: HLB는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의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으로 간암 1차 치료제 FDA 승인 신청하였지만 지난 16일 엘레바와 항서제약이 보완요구서한(CRL)을 수령하면서 허가 결정이 보류되었습니다. 지적한 문제 두가지는 캄렐리주맙의 CMC와 바이로리서치 모니터링 실사(BIMO) 미완료 등이며, HLB와 항서제약은 CMC에 관련하여 공정문제냐 시설문제냐 말이 갈리는 상황이고, 실사 관련하여 HLB 측은 추가적인 보완조치가 필요하지 않다고 피력하고 있습니다. |
|
|
📢 Central Lab에서 주로 사용하는 장비 또는 분석서비스에 대해서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Central Lab 서비스 소개 #9_각질 검체 분석 서비스 소개 |
|
|
오늘은 각질 분석 서비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각질에는 피부 장벽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생물학적 마커들이 있어 피부 건강 관리, 화장품 개발, 질병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
|
‣ 각질 검사로 알 수 있는 바이오 마커
각질 검사로는 주로 주로 사용되는 분변 검사 방법 및 특징은 아래 표와 같으며, 이 외에도 분변을 활용하여 다양한 마커를 볼 수 있습니다. |
|
|
-
각질 단백질 : 피부 각질층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인 filaggrin, loricrin, involucrin 등의 발현 및 변화 분석
-
지질 성분 : 세라마이드 외에도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등 피부 장벽 지질 성분 분석
-
면역 마커 : 피부 면역 관련 사이토카인 IL-36γ, IL-1RA, hBD-1, S100A8/9 등의 발현 분석
-
경표피 수분 손실률(TEWL): 피부 장벽 기능 저하 시 증가하는 경표피 수분 손실률 측정
-
피부 pH : 피부 pH 변화는 장벽 기능 저하와 관련됨
-
피부 미생물 군집 : 피부 미생물 군집 변화는 장벽 기능 이상과 관련될 수 있음
|
|
|
각질 검사 방법은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들로 아래 마커들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
|
1.피부 지질 성분 분석 관련 장비: GC-M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2. 면역 관련 사이토카인 발현 분석 :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estern Blot 외 각종 자동화 장비
3.각질 단백질 발현 분석 : Western Blot, Immunohistochemistry
4.기능적 평가: 경표피 수분 손실률(TEWL) 측정 관련 장비들 : Tewameter® TM Hex, VapoMeter i-Tube No.2112-G-0734
5.조직학적 분석: 피부 조직 구조 관찰에 적합한 광학 현미경, 전자 현미경 (SEM, TEM)
6.유전체 분석: Real-time PCR, RNA sequencing
|
|
|
피부 표피를 채취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나,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쉐이브 바이오프시(Shave Biopsy): 스캘펠이나 면도기를 사용하여 피부 표면의 얇은 층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표피와 일부 진피층을 포함하는 얕은 깊이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습니다. 상처 치유가 빠르고 흉터 발생 위험이 낮습니다.
2. 펀치 바이오프시(Punch Biopsy): 원형 펀치 도구를 사용하여 피부를 원형으로 잘라내는 방법으로, 표피부터 진피층까지 포함하는 깊이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습니다. 상처 치유가 쉐이브 바이오프시보다 느리고 흉터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3.절제 바이오프시(Excisional Biopsy): 병변 전체를 절제하여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입니다. 진피층과 피하지방층까지 포함하는 가장 깊이 있는 검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상처 치유가 가장 느리고 흉터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3.방법의 경우 위의 언급되지 않은 종양, 색소 병변을 확인하게 위해 사용되며 주로 1번 또는 2번, 특히 shave biopsy가 간편하게 흉터 발생 위험도 낮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
|
|
각질 검사는 화장품 관련 임상 및 피부 관련 질환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마커로 앞으로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휴사이언스는 자사 세팅된 분석 외에도 원활한 분석 진행을 도와드리기 위하여 각질 검사와 관련된 다수의 파트너사와 협업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각질 관련 임상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지금 아래 버튼을 통해 견적 문의를 남겨주세요. |
|
|
📢 휴사이언스가 진행하고 있는 이벤트나 참여하는 행사에 대해서 안내드려요. 휴사이언스의 Central Lab 서비스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해당 행사들에서 BD 담당자를 만나 상담을 받아보세요. |
|
|
📢 휴사이언스가 에이피트바이오와의 MOU 체결을 기념으로 스페셜 할인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항체 활용이 필요한 임상 진행 희망하실 시 전체 견적에서 10%를 추가 할인해드리니 관심 있으신 분은
홈페이지를 통해 견적 문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
|
휴사이언스BD@huscience.net경기도 광명시 소하로 190 3층 331호(소하동, 광명G타워) 02-898-4998수신거부 Unsubscribe |
|
|
|
|